etc

728x90
반응형
·etc
홈페이지를 만들었을 때 오류를 대비하여 서브 브랜치를 가지고 테스트를 해야 한다. 그래서 main 브랜치를 메인 도메인과 연결하여 놔두고 서브 브랜치를 만들어 서브 도메인과 연동해야 한다. 이를 어떻게 하는지 글로 작성해보도록 하겠다. 1. 테스트 브랜치 만들기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main 홈페이지는 놔두고 개발자들은 서브 홈페이지를 보고 오류를 수정을 해야 한다. 그래서 main branch와 분리하여 다른 branch를 생성해야 한다. git branch 이를 아래와 같이 push 해준다. git push --set-upstream origin test 여기서 upstream 은 로컬과 연결된 원격 저장소를 의미한다. 여기서 내가 서브 홈페이지와 연결할 브랜치의 이름을 test로 지정할 것이다. 그..
·etc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관리하는 방식은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세션 기반 인증이다. 이는 서버 기반 인증이라고 불린다. 이 인증 시스템은 유저가 로그인을 하게 되면, 서버측에서 유저가 현재 로그인 중이라는 인증정보를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 정보를 세션 이라고 부른다. 서버 기반 인증의 문제점 서버기반 인증의 문제점은 크게 2가지로 있다. 첫째는, 세션을 유지하게 될 때, 로그인중인 유저의 수가 많아진다면 성능에 무리가 가게 된다. 이 정보를 메모리에 넣게 된다면 램이 과부화가 되고, 데이터베이스에 넣게 된다면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에 무리가 가게 된다. 두번째는, 서버 확장이 어려워진다는 점이다. 여기서 서버 확장은 더 많은 트래픽을 감당하기 위하여 여러 프로세스를 돌리거나 여러 서버 컴퓨터를..
·etc
우연한 기회에 sentry를 접하게 되어 글을 정리하고자 한다. 이 글에 대한 내용은 더 추가될 예정이며, 글이 길어질 경우에 나눠서 글을 쓰고자 한다. 글을 접했을 때는 내가 웹 사이트를 배포하고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늘어나고, 그에 대해 오류가 일어났었다. 그런데 스타트업의 특성상 사수가 없다보니 물어볼 사람이 없어서 혼자 삽질을 엄청했다… 그래서 배포를 할 때 너무 무서웠고, 곧 react 배포할 때 똑같은 상황을 겪지 않기 위해 열심히 공부중이다. 프론트엔드 모니터링 프론트엔드 모니터링은 웹 사이트 또는 앱의 성능을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일련의 프로세스 및 도구를 말한다. 프론트엔드 모니터링은 주로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보는 부분에 중점을 둔다. 아래와 같은 문제를 모니터링에서 기준으로..
·etc
웹 페이지를 배포를 하다보면 자동으로 업데이트가 안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각각의 사용자의 웹 페이지에 있는 캐시를 삭제하고 나서 웹 페이지가 업데이트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각각의 사용자에게 캐시를 삭제하는 것을 요청해야 하는데, 이는 너무 비효율적이다. 그래서 이 글을 쓰게 되었다. 캐시의 생명 주기 HTTP에서 리소스(Resource)란 웹 브라우저가 HTTP 요청으로 가져올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파일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HTML, CSS, JS, 이미지, 비디오 파일 등이 이에 해당한다. HTTP 응답에 포함된 Cache-Control 헤더에 따라 받은 리소스의 생명 주기가 결정된다. 캐시의 유효 기간: max-age 서버의 Cache-Control 헤더의 값으로 max-age=..
·etc
MobaXterm의 경우 SSH, RDP, SFTP 등 다양한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와 터미널을 제공하는 툴이다. 이를 통해 윈도우에서 서버를 들어가 도커를 실행할 수 있다. MobaXterm 다운로드 💡 https://mobaxterm.mobatek.net/download.html 위 링크에서 MobaXterm을 Free 버전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사이트이다. (Portable edition 은 설치 안하는 버전, Installer edition 은 설치하는 버전) 1. SSH로 Linux Server 접속 실행을 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뜬다. 1) session 접속 접속을 하려면 접속 session 만들어야 한다. 최초 실행 화면의 왼쪽 상단 "Session" 클릭한다. 2) 계정 정보 입력 Remo..
·etc
: 웹 페이지 제작 시에 모든 브라우저에서 깨지지 않고, 의도한 대로 호환성에 맞게 나오게 하는 작업을 말한다. 1. 렌더링 엔진 : 페이지를 렌더할 때에 실질적으로 페이지를 작업해주는 브라우저의 엔진들을 의미한다. 엔진의 종류는 트라이던트, 게코, 웹킷, 프레스토, 블링크, 듀얼 엔진등으로 다양하다. 각 엔진은 사용되는 브라우저의 버전 혹은 지원하는 회사(ex: 구글, MS, 애플..)등에 따라 다르게 사용된다. 2. 대응 순서 타겟이 되는 (가장 점유율이 높은) 브라우저부터 맞춘다. 💡 http://gs.statcounter.com/ 위의 사이트는 전 세계 브라우저 점유율 조사 사이트(스탯 카운터)이다. 해당 사이트는 1999년에 시작된 웹 트래픽 분석 웹 사이트이다. 웹 사용 점유율을 계산하는 데 ..
728x90
반응형
Uheeking
'etc'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