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xt

728x90
반응형
·Flutter
1. Stack : stack는 자료구조에서 많이 보인다. 기본적으로 push와 pop을 사용한다. flutter에서 stack은 화면 위에 위젯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화면에서 이동한다. 화면 위에서 위젯을 표시할 때 push를, 위에 표시된 화면을 제거할 때에는 pop을 사용한다. Stack의 자식 위젯 위치를 조절하는데 쓰인다. Postioned Positioned 위젯은 Stack안에서 사용되어야 하며, StatelessWidget과 StatefulWidget에서만 사용가능하다. 그런데 여기서 positioned를 사용하여 top, left, right, bottom을 이용해서 자식들을 배치할 수 있다. 내가 하면서 제일 먼저 생성한 자식위젯은 맨 아래에 쌓인다. 그리고 제일 나중에 생성한 위젯은 제..
·React
우연히 글을 보다가 정리해두면 좋겠다 싶어서 정리하게 되었다. 정리하게 된 계기 React18 + StrictMode에서는 개발모드에서 data fetching이 최소 두 번이상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글을 계속 보았지만 왜 그런지 모르고 그냥 그런가보다하고 넘어갔다. 우리가 react를 이용하여 웹 사이트를 구현하고자 할 때 app.js는 기본적으로 생성된다. ReactDOM.render( , document.getElementById('root') ); 위와 같이 app.js가 생겼는데, 이를 아래와 같이 바꾸면 두번이나 재랜더링이 되지 않는다. ReactDOM.render( , document.getElementById('root') ); 개념 공식문서에 따르면 strictmode는 StrictM..
·React
context()에 대해서 정리하는 이유는 많이 보았기에 궁금해서 찾아보다가 너무 유익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context()는 언제 쓰는가 여러 글 봤었는데 유튜브의 영상이 잘 설명되어 있어서 맨아래에 첨부해놓는다. react로 개발을 하다보면 props를 가져와서 쓰고 싶은 경우가 생긴다. 즉 하위 컴포넌트에서 상위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가져오고 싶은 것이다. 나의 경우는 https://uhee-12.tistory.com/51 위 글을 보면 알겠지만, navigate와 location을 많이 사용했었다. 또한, redux를 사용하지 않아서 아직은 상태관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던 와중 context()를 알게 된 것이다. 위에서도 말한 것 같이 데이터를 전역적으로 사용하고 싶을 때 conte..
728x90
반응형
Uheeking
'Context'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