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

728x90
반응형
참고 사이트를 기반으로 하여 mysql를 배포하였습니다.기본적으로 data가 많다면 kubernetes안에 mysql을 배포하는 것이 좋지 않은 선택이다. 그렇지만 데이터가 많지 않고 insert하고 나중에 delete하는 작업을 반복한다면 안에 넣어 관리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1. 쿠버네티스 secret 만들기: 암호, 토큰 또는 키와 같은 소량의 중요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이다. 이를 사용하지 않으면 중요한 정보가 파드 명세나 컨테이너 이미지에 포함될 수 있다.vi mysql-secret.yamlmysql의 secret파일을 만든다.apiVersion: v1kind: Secretmetadata: name: mysql-secrettype: kubernetes.io/basic-auths..
·Error
나중에 정리해놓고 글을 보았을 때 유용하게 쓰일 것 같아 정리해보고자 한다. 문제 발생 이러한 오류가 뜨면서 db를 작업하는 tableplus에서는 드라이버가 어떠한 패킷에 대한 응답을 받지 않았다고 하여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적혀있었다. 이 문제 발생시 방화벽에 대한 규제는 풀어주었기에 방화벽에 대한 에러는 아니었다. 또한 mysql의 경우 tcp/ip나 socket을 사용하여 mysql과 연결하는데, 내 경우 socket을 사용치 않으므로 tcp/ip를 사용한다. 그래서 netstat으로 하여 지금 쓰는 포트에 대한 규제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1) linux에서 규제 확인 netstat -ntlp | grep 3306 위와 같은 코드를 쳐서 확인해주었다. 2) mysql에서도 규제 확인 서버 변수에서도..
·Node.js
node와 s3를 연동하면서 잘 되지 않았던 부분들을 정리하고자 글로 정리한다. 이는 세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s3연동하는 js하나, s3를 연동하는 js를 미들웨어로 넣어주어 사용하는 라우트 하나, 이에 대한 결과를 보여주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져 있다. 모듈 설치 npm install multer multer-s3 aws-sdk 위의 모듈은 s3와 node를 연동할 때 필요한 모듈이다. 이를 설치하고 난 후에 설치된 모듈의 버전을 확인해야 한다. 모듈과 관련하여 오류가 발생하였었다. 아래의 글을 한번 살펴보고 나서 이 글을 정독하거나 하면서 오류나는 부분들은 아래를 참고하면 좋다. 2023.02.08 - [Error] - [Error] this.client.send is not a function(no..
·Node.js
리눅스에서 mysql에 접속 sudo /usr/bin/mysql -u root -p 을 입력하여 mysql에 접속한다. use mysql;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여 들어간 다음에 // 특정 ip만 접근을 허용하는 사용자 추가 create user '유저명'@'123.456.789.100' identified by '비번'; // 권한 허용 grant all privileges on *.* to '유저명'@'123.456.789.100'; 이 때 나의 경우에는 aws ec2를 만들어서 mysql을 연결하여 사용할 것이기에, 한 포트만 사용해줄 것이다. 그래서 한 ip만 허용하여 유저가 들어가게 해놨다. 그렇지만 localhost로 해서 내부접근하는 경우와 외부접근하는 경우도 있기에 아래 사이트를 참고..
·Node.js
HTTP Stateless Protocol http 프로토콜은 상태(state)를 유지하지 않는다. 이를 stateless protocol이라 한다. HTTP 프로토콜은 요청(request)를 전송하고 응답(response)를 전송받은 시점에서 통신이 종료되며 어떠한 상태 정보도 남지 않는다. 즉, 특정 클라이언트에서 동일 서버에 반복하여 접속하여도 각각의 접속은 독립적인 트랜잭션으로 취급된다. 따라서 로그인 화면에서 아이디,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친 이후에 재차 웹사이트에 접근하면 로그인 상태임을 인식(유지)할 수 없으므로 매번 사용자 인증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쿠키와 세션 쿠키는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생성되는 정보를 담은 임시 파일이다. 쿠키의 데이터 형태는 ke..
·Node.js
커넥션 풀(DBCP)의 개념 웹 컨테이너(WAS)가 실행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된 Connection을 미리 만들어서 pool에 저장한다. 그 후, 클라이언트 요청이 오면 pool에서 Connection 객체를 빌려준다. 해당 객체의 임무가 완료되면 다시 Connection 객체를 반납 받아서 pool에 저장하는 프로그래밍 기법이다. 커넥션 풀 순서 사용자가 DB를 사용하기 위하여 Connection을 요청한다. Connection Pool에서 사용되지 않고 있는 Connection 객체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Connection 객체를 사용 완료하면 pool로 반환한다. 커넥션 풀(DBCP)의 장점 DB 접속 설정 객체를 미리 만들어 연결하여 메모리 상에 등록해 놓기 때문에 불필요한 작업(커넥션 생성, ..
·Node.js
body-parser npm install body-parser --save 를 하여 body-parser를 설치하여 준다. 이를 사용하는 이유는 클라이언트 POST request data의 body로부터 파라미터를 편리하게 추출하기 위해서이다. 프론트엔드에서 form등의 값을 가져올 때 undefined error를 마주하게 된다. req.body를 사용해서 가져오게 되면, body-parser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기본값으로 undefined가 설정되어 있어서 그러한 오류가 난다. (Express v4.16.0 기준)express.js도 빌트인 body parser가 되어있다. 그래서 express.json, express.urlencoded도 가능하다. const bodyParser = require..
728x90
반응형
Uheeking
'MySQL'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