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ssion

728x90
반응형
·Node.js
카카오톡 api를 설정하면서 세션을 등록하였다. 이에 대해서 글이 길어질까 싶어 글을 쪼갰다. 오늘은 session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개발환경Backend: Express + TypeScript + Node.js + MongoDB세션이란?Cookie방식과 다르게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하는 방식Server가 Client에 유일하고 암호화된 아이디(Session ID)를 부여실제 데이터는 서버에 보관해 두고 각각의 유저들에 대한 고유 id 값을 쿠키에 저장하여 기록한다. 서버는 사용자의 ID값(Cookie에 저장되어 있는)을 비교 및 판단하여 어떤 사용자의 데이터인지와 그 사용자의 접속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ession Store란?: 세션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대표적으로 세가지가 있다.기본 셋팅..
·Node.js
HTTP Stateless Protocol http 프로토콜은 상태(state)를 유지하지 않는다. 이를 stateless protocol이라 한다. HTTP 프로토콜은 요청(request)를 전송하고 응답(response)를 전송받은 시점에서 통신이 종료되며 어떠한 상태 정보도 남지 않는다. 즉, 특정 클라이언트에서 동일 서버에 반복하여 접속하여도 각각의 접속은 독립적인 트랜잭션으로 취급된다. 따라서 로그인 화면에서 아이디,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친 이후에 재차 웹사이트에 접근하면 로그인 상태임을 인식(유지)할 수 없으므로 매번 사용자 인증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쿠키와 세션 쿠키는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생성되는 정보를 담은 임시 파일이다. 쿠키의 데이터 형태는 ke..
·Node.js
passport 개념 Node.js 를 위한 인증 미들웨어이며, Express 기반 웹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Passport는 이름 그대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끔 해주는 여권 같은 역할을 하는 모듈이다. 로그인을 쉽게 할 수 있게 도와준다. strategy 종류 (로그인 인증 방식) : Local Strategy(passport-local) : 로컬 DB에서 로그인 인증 방식 Social Authentication (passport-kakao, passport-twitter 등) : 소셜 네트워크 로그인 인증 방식 Passport 설치 내가 지금 구현하고자 하는 것은 local strategy로 DB에서 로그인 인증 방식을 구현할 것이다. passport-local : 직접 구현할 때 사용 ..
728x90
반응형
Uheeking
'session'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