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

728x90
반응형
·Flutter
1. final과 const1) final 과 const 선언final 과 const 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선언한다.final double pi = 3.141592;const double e = 2.71828;2) final과 const 공통점, 차이점final과 const 공통점한 번 설정한 값을 변경할 수 없다. (다른 값으로 변경하려고 시도하면 컴파일 오류가 발생)final & const 차이점const의 경우, 컴파일 타임에서 상수를 정의할 수 있다. 즉, const로 정의한 상수는 런타임에서 정의되는 값을 설정할 수 없다는 의미다.예를 들어, DateTime.now()의 경우 런타임에서 호출 될 때마다 결과 값이 다른데 이러한 값은 const로 설정할 수 없다.final은 런타임에서 결정되는..
·React
우연히 글을 보다가 useState()가 비동기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근데 react 코드를 짜면서 느낄 수 있는 부분들이 많아 놀랍지는 않았지만, 개념으로 확인시켜주니 좋았다. 그래서 비동기방식으로 처리할 때 불편함이 있어 동기 방식으로 처리하는 방식을 알고자 정리하게 되었다. 개념 const로 선언하는 이유는? 변수의 재할당을 막기 위해서 let을 사용하면 변수의 재선언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 setState를 사용한 변수 변경만을 허락하기 위해서 const로 선언 state를 사용하는 이유 변수는 변경되어도 자동으로 화면이 바뀌지 않는다. setState를 사용시 state가 변경되면 자동으로 화면이 바뀌기 때문에 state를 사용한다. 비동기 방식 우선 개념에 대해서 보면, ..
728x90
반응형
Uheeking
'const' 태그의 글 목록